안녕하세요 손앤최스트링 입니다.
오늘은 바이올린 연주를 위한 바이올린 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바이올린 활 긋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초적
인 방법이 있는데 바이올린 활 쓰는 방법
및 전세계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활쓰기(Bowing)의 10가지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1. 레가토(Legato)
하나의 바이올린 활로 둘 이상의 음표를
슬러로 연주하는 방법 입니다.
보통의 연주자들이 처음으로 배우는
것이기도 하고 연주하고 있는 현에서 다른
현으로 바꾸는 포지션일 경우 부드럽게
연주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포지션을 바꿀 때 활 속도를 약간
느리게 하여 압력을 조금 덜 가하면 바꾸는
현으로 자연스럽게 음이 이어지게 됩니다.
또한 바이올린 활의 압력도 중요하지만
오른손 잡이인 경우 왼손의 역할도 중요합
니다. 여러 현을 움직일 때 활의 각도를 잘
조절해서 연주에 방해되지 않을 만큼
움직여주면 한결 바이올린 활 긋기가
편해집니다.
2. 데타셰(Detache)
바이올린 활의 압력을 바꾸지 않고 다른
현으로 움직이더라도 부드럽고, 균일하게
켜는 방법입니다.
보통 하나씩 끊어서 켜는 방법이라고
알고 있는데 음표사이에 쉼표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음이 끊어지지 않고
잘 이어지게 소리를 내고 있어야 합니다.
정확하게 음을 내기 위해 적절한 악센트로
데타셰 포르테, 데타셰 란세, 포르타토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3. 푸에테(Fouette)
데타셰에서 악센트를 주어서 변형시킨
방법 입니다.
바이올린 활을 현에서 재빠르게 뗀 다음
음이 끊어지지 않게 바로 현을 내려치는
방법이며, 날카롭고 명쾌한 소리가 나므로
다양한 음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
4. 마르텔레(Martelle)
음이 들어가기 전 처음에 날카로운 악센트를
주는 방법 입니다.
바이올린 활로 음을 시작하기 전에 현을 활에
무게를 실어서 누르고 있어야 합니다.
음 하나하나에 포인트를 주는 방법이라 모든
활을 사용할 때 기본이 되며, 지속 마르텔레와
단순 마르텔레로 나눠져 있습니다.
5. 콜레(Colle)
바이올린 활을 공중에서 현에 닿는 순간
가볍고 날카롭게 누르는 방법 입니다.
활이 닿는 순간과 속도, 압력 등 3박자를
잘 맞춰야하기 때문에 쉽지 않는 방법이나
음을 빠르게 움직일 때 스피카토보다
무겁게, 마르텔레보다 약간 더 가볍게
음을 낼 수 있습니다.
6. 스피카토(Spiccato)
콜레와 비슷한 방법 입니다.
현을 그어 하나의 음표를 켤 때마다
바로 활을 들어올리는 방법으로 되도록이면
활의 높이를 균일하게 하여 음을 낼 수
있도록 합니다.
이해가 쉽도록 농구공을 손으로 가볍게
튀기는 것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처음부터 가볍게 튀긴다는 생각보다 현을
가볍게 든다는 생각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처럼 쉽지 않는 방법 입니다.
7. 소티에(Sautille)
스피카토와 유사한 방법이지만 각각의
음표에 활을 올리거나 내리지 않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바이올린 활의 탄력성에 의해 들어올렸다
내렸다하는 방법인데 바이올린 활은 가운데를
기준으로 위아래 모두 탄력성이 다르기
때문에 연주자의 세심한 조절이 필요합니다.
8. 스타카토(Staccato)
짧고 악센트를 주는 방법으로 항시
바이올린 활털이 현과 접촉하듯이 음을 내게
됩니다.
다른 방법들과 비슷하지만 다르게 근육을
많이 사용해서 포인트를 주기 때문에
익숙하게 연주하기까지 노력이 필요합니다.
9. 플라잉 스타카토(Flying Staccato)
한번의 활긋기(Bowing)으로 여러가지 음의
스타카토를 하는 방법인데 한 음을 연주
할 때마다 다시 바이올린 활이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 입니다.
좋은 예로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
3악장의 도입부분을 들어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것 같습니다.
10. 리코셰(Ricochet)
여러가지 음이 슬러로 연결되있을 때
한번의 Bowing으로 각각의 스타카토를
하는 방법 입니다.
스피카토의 예로 균일하게 공을 튀기는
방법과는 다르게 한번 튀기게 둔다음
자연적으로 튀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 '카덴짜'에
나오는 방법 입니다.
쉽게 접근하려면 upper보다는 downing으로
즉 내림활로 연습하시는게 좋습니다.
바이올린 활의 방향을 잘 보고 활이 튀지않게
하는 것이 관건 입니다.
여기까지 바이올린 활을 긋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전공자들은 대부분 배우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용어자체가 생소하기도 하고 방법이 어렵기도해서
이해가 쉽도록 머릿속으로
이미지트레이닝하여 설명해봤습니다.
다소 틀린점이 있더라도 사실과 이론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양해 부탁드립니다.
해외 유수의 대학의 오디션에서 요구하는
방법들도 있고, 앞서 얘기한 10가지 방법을 모두
마스터하시면 분명 좋은 연주자가 될 것 같습니다.
바이올린 활이라고 특정지어서 살펴보았지만
바이올린에 국한되어 있는게 아니라 콘트라베이스,
첼로, 비올라 모두 해당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저희 공방에서는 프랑스 활, 이태리 활, 올드 활,
카본 활, 수제 활 등 전국 최대 규모의 활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제 현악기(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수리를 하고 있으니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문의주셔도 됩니다.
☎ 대표전화 : 02-6339-8242
'현악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의 활 선택과 관리방법 (0) | 2017.04.27 |
---|